전체 글 (190) 썸네일형 리스트형 몽골어 번역기 대표적으로.. 주변에 외고를 졸업하고 어문계열로 진학한 친구들이 많습니다. 그중에서도 소수어학과에 진학한 친구들을 보며 생각보다 많은 언어가 있다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많은 소수어가 있지만 오늘은 그중에서도 몽골어에 대한 내용과 몽골어 번역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몽골어는 몽고와 중국의 내몽고 자치구에서 쓰이는 언어입니다. 중국과 인접해 있기 때문에 한자의 영향을 많이 받았을 것이라는 추측을 할 수 있지만 mongol에서는 1930년부터 라틴문자의 영향을 받았고, 러시아(소련)의 영향도 받아서 molgol식 키릴 문자를 활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렇기에 한자의 느낌은 찾아볼 수 없습니다. 이러한 몽골어는 대부분이 해당 지역에서만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이 언어를 지원하는 번역기는 극소수 입니다. 우리나라의 대.. 네이버 중국어 번역기 이용하기 고등학교때부터 중국어를 배우면서 중국어 번역기와 사전을 정말 많이 사용해봤습니다. 그 결과 가장 많이 사용했던 번역기는 역시 네이버 번역기 입니다. 특히나 이 언어는 입력하기가 굉장히 어려워서 난해한 경우가 많은데, 네이버 중국어 번역기에서는 학습카메라를 통해 사진을 찍으면 번환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언어를 배울 때 요긴하게 사용했습니다. 사실 중국어 변환기가 별도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가지 선택할 수 있는 언어 중 하나일뿐입니다. 이러한 파파고에서는 중국어 뿐만아니라 영어, 일본어, 프랑스어 등 다양한 언어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네이버 papago (안드로이드) 네이버 papago (아이폰) 위 링크를 통해 파파고를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핸드폰 기종에 맞게 링크를 클릭하면 다운받을 수 있는 페이.. 코리아닷컴 메일 이용하기 코리아닷컴은 대한민국의 포털사이트로 고리아닷컴커뮤니케이션즈가 운영하며, 1999년에 설립되었습니다. 코리아 닷컴은 과거 재미교포 사이트였던 ‘korea.com’의 도메인 주소를 60억이라는 어마어마한 돈을 주고 사온 포털사이트입니다. 큰돈을 들인데에 반 현재는 대형포털사이트들에 밀려서 마이너한 포털사이트에 속합니다. 현재 주 서비스는 유료인 메일과 한류관련 사업입니다. 이와 관련된 서비스에 대한 설명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홈페이지에 접속해야합니다. 주소창에 korea.com 을 입력하면 다음과 같이 메인 페이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에 접속했다면 다음과 같이 메일을 클릭하면 됩니다. 이 과정이 귀찮은 분들을 위해서 아래 링크를 남겨두겠습니다. 코리아닷컴 메일 홈페이지 바로가기 위 링크를 통해 코.. 이전 1 ··· 55 56 57 58 59 60 61 ··· 64 다음